Home > 뉴스 > 정치

중국 공산당이 '돈 숭배', '극단적 개인주의'와 '부정부패'를 비난하고 나섰다. 개국 이후 40년 간 나타난 이같은 부조리에 대해 강력한 당 지도부와 도덕적 규율이 요구된다고 16일 발표한 주요 결의안은 밝혔다.
이 결의안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사상 유례없는 3연임이 결정될 내년 하반기 제20차 당 대회를 앞두고, 당 장악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국의 역사적 궤적에 대한 비전을 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100년 전 창당 이래의 '업적과 역사적 경험'에 대한 당 결의안은 지난주 4일간의 비공개 중앙위원회 회의를 끝으로 통과됐다. 이번 결의는 1945년 1차(마오쩌둥), 1981년 2차(덩샤오핑)에 이어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채택된 역사결의다. 이로써 시 주석은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와 같은 반열에 오른 셈이다.
여기에는 청나라 말기의 '굴욕'적인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 역사의 개요와 공산당이 진보의 원동력임을 거듭 강조하며 미래의 '대흥'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덩샤오핑은 1978년 중국을 빈곤한 후진국에서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탈바꿈시킨 개혁을 단행했고, 마오사상의 문화대혁명 이후 '집단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시 주석은 마오쩌둥 이후 어떤 지도자보다 더 많은 권력을 축적한 것으로 보이며, 이번 결의안에서 '집단적 리더십'을 강조하지 않았다.
이번 문서는 '개혁·개방'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선언하면서도 출범 이후 '돈 숭배, 향락주의, 극단적 개인주의 등 잘못된 사고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은 또한 당 지도부의 약화와 개혁 시대의 부패 관행을 목격했다고 밝혔다. 이는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이 낳은 불평등과 부작용 등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더 엄격한 통치, 더 강력한 이념 작업과 문화적 '자신감'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시 주석 시대에 많은 장기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었다고 언급했다.
시 주석은 빈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공동부유"를 주장했고, 고위 간부부터 당 지도부의 경쟁자까지 100만 명 이상의 관리들을 처벌하는 광범위한 반부패 운동을 주도해 왔다고 추켜 세웠다.
11월 28일(토) 아침 7시 30분 SBS 첫 방영
- 경제 더보기
- 中 전문가 “코로나 이후 ‘보복 소비’ 없을 것”
- 中 봉쇄 타격에 4월 주요 경제지표 ‘추락’
- 中 ‘부동산 살리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낮춰
- 中 PCR 검사 요원 ‘인력난’…최소 100만 명 모집
- 상하이 新 기업 생산 재개 가이드라인
- 정치 더보기
- 美 상하이총영사관 철수령에 中 “정치적 이용 말라!”
- 中 매체 “윤석열 ‘초박빙’ 대선 승리”… 사드 추가배치, 대중 강경 노선 주장
- 상하이 6281명 투표, 단일투표소 세계 1위
- 中 ‘양회’ 4일 개막…경제 관전포인트 ‘세 가지
- 상하이 재외투표 첫날 785명 참여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 문화/생활 더보기
- 上海 23일부터 출입국 신체검사 업무 재개
- 상하이, 22일부터 공항•기차역•병원 연결 대중교통 운행 재개
- 中 입국검역 일부 완화… 미국 등 입국 전 혈청검사 ‘취소’
- 中 오미크론 보다 전파력 강한 BA.2.12.1 첫 감염자 발생
- 상하이 16일부터 일부 국내항공편 운항 재개
- 사회 더보기
- 中 신규 본토 감염자 174+628, 상하이 55+503
- 中 본토 감염 191+825… 상하이 5일 연속 ‘사회면 칭링’
- 上海 타 지역区 제한적으로 이동 허용
- 中 본토 신규 감염자 227+1000, 상하이 96+759
- 上海 대형 마트 속속 영업 재개… 일상 회복 가속화
- IT/과학 더보기
- 中 8개월 만에 게임 서비스권 발급… 온라인게임 45개 승인
- 야후 이메일, 중국 본토 사용 중단
- 中 네티즌 수 10억명 돌파, 1인 평균 매주 28.5시간 인터넷 사용
- 中 국가혁신능력 세계 12위
- 2021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 교육/유학 더보기
- 중국 명문대들 잇따라 ‘세계대학순위’ 탈퇴 선언
- 상하이, 가오카오 7월 7~9일로 한 달 연기
- 중국 대학 인기 학과 Best 6
- 中 학원 과외 사교육 기관 90% 급감
- 대선 앞두고 “재외한국학교 초등 무상교육 약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