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출처 : CCTV13
일일 코로나19 통계를 발표하지 않았던 국가위생건강위원회(国家卫健委)에서 12월 이후의 코로나19 관련 수치를 공개했다.
14일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지난 12월 23일 286만 7000명을 기점으로 전국 발열 진료소 환자 수가 줄고 있다고 전했다. 1월 12일 현재는 하루 47만 7000명까지 줄어 정점 대비 83.3% 감소했다. 동시에 양성자 비율도 크게 감소했다. 발열 진료소에서 양성 검출 비중이 지난 12월 20일 33.9%에서 1월 12일 현재 10.8%까지 줄어 진료소 정점은 이미 지나간 것으로 판단했다. 응급실 환자도 2023년 1월 2일 152만 6000명을 기록한 뒤 1월 12일 109만 2000명까지 줄었다.
일반 진료소의 경우 점차 정상을 회복하고 있다. 12일 기준 전국 일반 진료소 환자는 913만 5000명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사망자 수도 공개했다. 2022년 12월 8일부터 2023년 1월 12일까지 한 달이 조금 넘은 기간 동안 전국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관련으로 사망한 사례는 59938명에 달했다. 거의 6만 명에 육박한 것으로 이 중 코로나19로 인해 호흡기 기능 저하로 사망한 사례는 5503명, 기저 질환 합병증으로 사망한 사례는 54435명이다.
사망자 평균 연령은 80.3세다. 65세 이상이 90.1%를 차지했고, 이 중 80세 이상이 약 56.5%를 차지했다.
치료 중인 환자도 줄고 있다. 지난 5일 입원 중인 감염자는 162만 5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1월 12일 127만 명까지 줄었다. 그러나 위중증 환자는 한때 12만 8000명까지 늘어다가 10만 5000명으로 줄었다.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75.3%로 아직까지 여유가 있다. 위중증 환자 대부분이 고령으로 최고령이 105세, 평균 연령은 75.5세다.
“생각보다 사망자 숫자가 적다”라는 반응에 대해서 국가위건위는 “중국의 코로나19 사망자 판단 기준은 세계보건기구의 기준과 동일하다”라며 반박했다. 2020년 이후부터 중국의 코로나19 사망자 판단 기준은 첫째,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호흡기 기능이 약화되어 사망한 경우, 코로나19와 기저질환 합병증으로 사망한 경우 두 가지뿐이라고 강조했다.
- 경제 더보기
- 스타벅스, 베이징∙상하이에서 ‘커브사이드 픽업’ 서비스 출시
- 중국 소비 회복에 택배 업계 성장가도 달린다!
- 나이키 CEO, 중국 시장 회복에 만족… 글로벌 시장 3분기 매출 14% 증가
- 中 ‘인구 보너스’ 에서 ‘인재 보너스’로 전환 중
- 中 1주택 부동산 담보 대출 3%대 진입…시장 회복은 ‘아직’
- 정치 더보기
- 시진핑, 국가주석 '3연임' 확정
- 한 눈으로 보는 양회·정부 업무보고 ‘2023 전망’
- 이제 '만수르'보다 '빈살만'
- 中정부 "한국은 전염병 방역 조치 정치화 말라"
- 중일 수교 50주년, 그러나 여전히 위태로운 중·일 관계
- 문화/생활 더보기
- 中 노동절 연휴 해외여행 예약, 지난해보다 17배 증가
- 올해 최악의 황사로 진흙비 내린 장춘
- 이달 26부터 상하이 홍차오공항 국제선 재개
- 자동차 키 완벽 대체하는 비야디 ‘스마트워치’ 4월 출시
- 中 의료진 "A형 독감 정점 지났다"
- 사회 더보기
- 중국 행복지수 32개국 중 1위, 한국은 31위
- 中 SNS 강타한 ‘대나무통’음료가 뭐길래?
- 올해 청명절 휴가는 단 1일!
- “남친이 공안인데, 감히 날 건드려?” 대리운전사 폭행한 상하이 여성의 최후
- 中 출산장려책으로 ‘2·3자녀 고입시험에 가산점’ 논란
- IT/과학 더보기
- 中 사이버 폭력 단속... 아이디 8511개 처벌, 위법 정보 401만건 차단
- 中 네티즌 수 10억 6700만…인터넷 보급률 75.6%
- 마오타이도 ‘메타버스’ 게임 출시…상위권만 한정판 제품 구매 논란
- 아이폰 14 비용, 중국인 연봉의 12% vs 미국인 연봉의 1.8%
- 홍콩대, 챗GPT·AI 도구 사용 금지!
- 교육/유학 더보기
- 中 2023년 대학 졸업생 1158만 역대 최다… 석∙박사 비중↑
- 2022년에도 전 세계 중국어 배우기 계속, 30대 이하가 80%
- 中 코로나19 봉쇄조치로 등교 못한 학생들, 학비 감면 받을 수 있나?
- 중국 대학의 치열한 인재 쟁탈 대전
- 상하이시 모든 학교 ‘온라인 수업 전환’ 사실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