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경제 > 경제일반

20일 중국 인민은행은 5년 만기 LPR을 4.30%, 1년 만기 LPR은 3.65%로 각각 유지하기로 했다.
이날 저녁 중국 인민은행은 공식 위챗계정을 통해 “현재 중국의 정기예금 금리가 약 1~2%, 대출금리는 약 4~5%이며, 실질금리는 잠재적 실제 경제 성장률보다 약간 낮아 비교적 합리적인 수준이며 여지를 남겨두는 최선의 전략”이라고 발표했다고 북경일보(北京日报)는 전했다.
현재 중국의 경제성장, 물가수준, 고용상황, 국제수지 균형 등 통화정책 통제 목표는 모두 합리적인 구간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실제 효과에서도 현 금리수준이 전반적으로 합리적인 구간에 있음을 충분히 검증했다고 전했다.
중국 인민은행 통화정책사가 발표한 '금리 시장화 개혁 심화 추진'의 문장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금리 시장화 개혁을 꾸준히 심화시키고 있다. 중국의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 개혁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예금 금리의 시장화 조정 메커니즘을 구축하며, 개혁 방법으로 실제 대출 금리의 명백한 하향 조정을 추진한다. 중앙은행의 정책금리를 개선하고, 보다 나은 시장 지향적인 금리 시스템을 육성 및 형성해야 한다.
인민은행에 따르면 LPR 개혁 이후 기업대출 금리는 2019년 7월의 5.32%에서 올해 8월에는 4.05%로 통계 작성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예금금리의 시장화 메커니즘이 점차 개선됨에 따라 올해 9월 중순 국유 시중은행이 주도적으로 예금금리를 인하해 기타 은행들의 조정을 이끌었다. 이 중 많은 은행들이 2015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예금 금리를 조정했다. 이는 은행의 자산부채 관리를 강화하고 부채 원가를 안정시키는 주도적 실천으로 예금금리 시장화 개혁이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다음 단계로 인민은행은 금리 시장화 개혁을 꾸준히 추진하고, LPR 개혁의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예금 금리의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예금 금리 시장화 조정 메커니즘의 주요 역할을 충분히 발휘해 금리 시장화를 촉진한다. 또한 시장화 금리 구축과 중앙 은행 정책 금리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금리 레버리지의 조정 역할을 하며, 금융 자원의 최적화된 배치로 경제의 질 높은 발전을 위한 좋은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 경제 더보기
- BMW∙벤츠, 中서 고속 충전 네트워크 공동 구축
- 中 쇼핑몰 ‘SHEIN’ 내년 미국서 IPO 진행
- 핀둬둬 추격에 마윈 “알리바바 변해야 한다” 일침
- 리샹자동차, 100개 도시에 스마트 운전보조기능 선보인다
- UBS, 내년 中 GDP 5% 전망…부동산 영향 줄어들 것
- 정치 더보기
- 시진핑 주석 상하이 방문 3가지 의미는?
- 시진핑-바이든 1년만에 회담 “양국 충돌 최소화” 강조
- 미∙중 정상회담, 핵심 의제∙기대 성과는?
- 내년 4.10 총선 국외부재자 신고 시작
- 리커창 전 중국 총리 심장병으로 사망…향년 68세
- 문화/생활 더보기
- 中 정체불평 폐렴 유행? 위건위 “신종 전염병 없어” 일축
- 12월부터 달라지는 것들
- 푸단대학, 中 병원 순위 발표…10위권 내 상하이 3곳
- 中 유럽 5개국∙말레이시아 6개국에 ‘무비자’ 적용…최대 15일 체류
- 멀티데믹 현실화, 호흡기질환 주의보
- 사회 더보기
- 中 초혼 인구 1100만 명 이하…전년보다 10%↓
- 中 신종사기, ‘솨단(刷单)’ 주의
- 항공권이 10위안? 남방항공 시스템 오류 논란
- 문제의 칭다오 맥주공장 사장도 교체
- 상하이 지하철, 5년간 소송 1000건… 절도 92% 감소
- IT/과학 더보기
- 디디추싱, 12시간 ‘먹통’…대규모 인원감축이 원인?
- 화웨이 자체 OS 적용하는 中 기업 증가
- 알리클라우드 또 고장…타오바오∙시엔위∙딩딩 ‘먹통’
- 上海 수입 박람회, ‘손바닥 결제’기술 선보인다
- 中 대표 SNS 일제히 ‘실명제’ 전환 발표
- 교육/유학 더보기
- 中 9월부터 633교육제 543제로 바뀐다
- 中 교육부 “세계 최대 규모의 교육 시스템 구축”
- 상하이 교통대 입학 통지서, 온라인서 화제…왜?
- 2024 QS 세계대학순위, 中 베이징대 17위
- 上海 전국 1등 평가받은 대학 전공 58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