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IT/과학 > 인터넷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 규모가 10억 명을 넘어서며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 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CNNIC)가 25일 발표한 ‘중국인터넷네트워크 발전상황 통계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까지 중국의 네티즌 규모는 10억3200만 명으로 2020년 12월 대비 4296만 명이 늘었다.인터넷 보급률은 73.0%에 달한다고 재경망(财经网)는 전했다.
1인당 인터넷 사용 시간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까지 중국 네티즌의 1인 평균 주당 인터넷 사용 시간은 28.5시간으로 2020년 12월에 비해 2.3시간 증가해 중국인의 일상에 인터넷 사용이 깊이 침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오피스, 온라인 의료 등의 어플리케이션도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2월까지 온라인 오피스, 온라인 의료 사용자 규모는 각각 4억6900만 명과 2억9800만 명에 달해 연간 35.7%, 38.7% 급증했다. 특히 온라인 와이마이(外卖: 음식 포장배달)와 인터넷 차량예약(网约车) 어플의 사용자 규모는 각각 5억4400만 명과 4억5300만 명으로 연간 29.9%, 23.9%씩 급증했다.
고연령자의 인터넷 사용도 급격히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까지 60세 이상 네티즌 규모는 1억1900만 명에 달해 인터넷 보급률이 43.2%를 기록했다. 노년 네티즌이 독립적으로 온라인 활동을 하는 분야에서 헬스코드/여행기록코드(健康码/行程卡) 사용은 69.7%, 생활용품 구매는 52.1%, 정보 검색은 46.2%에 달해 노년층에서도 다른 연령층과 정보화 발전의 성과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용 인터넷과 5G는 국민경제의 핵심 산업에서 통합 및 혁신적 응용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지난해 12월까지 총 5G 기지국 건설 및 개통 규모는 142만5000개에 달하고, 지난해 신규 5G 기지국 수는 65만4000개에 달한다.
11월 28일(토) 아침 7시 30분 SBS 첫 방영
- 경제 더보기
- 中 5월 신에너지차 생산·판매 전망치 웃돌며 호조세
- '디폴트' 헝다, 내달 기본 구조조정안 발표
- 中 1~5월 외자사용 규모 전년比 17.3% 증가
- ‘글로벌 브랜드 가치 100강’ 中기업 14곳 진입… 韓 삼성 유일
- 中 5월 경제 회복세…2분기 플러스 성장할까?
- 정치 더보기
- 美 상하이총영사관 철수령에 中 “정치적 이용 말라!”
- 中 매체 “윤석열 ‘초박빙’ 대선 승리”… 사드 추가배치, 대중 강경 노선 주장
- 상하이 6281명 투표, 단일투표소 세계 1위
- 中 ‘양회’ 4일 개막…경제 관전포인트 ‘세 가지
- 상하이 재외투표 첫날 785명 참여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 문화/생활 더보기
- 상하이 올해 첫 ‘고온 오렌지색경보’… 지난해보다 14일 빨라
- 中 해외 입국제한 완화 추세 ‘뚜렷’…국제선 증편, 비자 재개, 격리 단축
- 상하이 주재 외국인, 백신접종 재개
- 中 남부 ‘여름 독감’ 유행 비상
- 中 ‘핵산 검사 상시화’ 취소 지역 계속 증가
- 사회 더보기
- NIO, 上海 테스트 중 추락해 2명 사망
- 中 본토 신규 감염자 18+26… 상하이 2+1
- 상하이 민항구 ‘코로나 제로 단지’ 113곳 추가…홍차오전 12곳
- 中 본토 감염 13+18…상하이 봉쇄지역서 9명 발생
- 中언론 “韩 젊은이 5명 중 1명은 코인투자” 유일한 출세의 길로 여겨
- IT/과학 더보기
- 中 8개월 만에 게임 서비스권 발급… 온라인게임 45개 승인
- 야후 이메일, 중국 본토 사용 중단
- 中 네티즌 수 10억명 돌파, 1인 평균 매주 28.5시간 인터넷 사용
- 中 국가혁신능력 세계 12위
- 2021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 교육/유학 더보기
- ‘QS 세계대학평가’ 베이징∙칭화대 역대 최고 순위
- 상하이, 세계 명문대 50위권 졸업생에 上海 호적 준다
- 中 초등참고서 이번엔 ‘일본군’이 영웅처럼 등장
- 상하이 6월 6일부터 고2,3 등교 시작… 중3은 13일부터
- 12년 로컬학교 경험에서 터득한 중국어 공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