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IT/과학 > 휴대폰/통신

▲사진 출처 : 쾌과기(快科技)

▲사진 출처 : 쾌과기(快科技)
지난해 샤오미의 시장 점유율은 중국내 1위, 글로벌 3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는 삼성(22%), 2위는 애플(19%)이 차지했다.
17일 시장조사기관 캐널리스(Canalys)는 2022년 연간·Q4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데이터를 발표했다. 2022년 시장 점유율 상위 5개 제조업체 중 중국 제조업체 3곳이 포함됐다고 제일재경(第一财经)은 전했다.
캐널리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는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다. 삼성전자는 출하량 세계 1위지만, 영업이익은 8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고, 시장점유율 2위인 애플은 수요 위축의 시험대에 직면해 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역시 복잡한 국내외 경제 환경으로 출하량에 영향을 받고 있다. 다만 샤오미의 하락 폭은 상대적으로 작아 전년 대비 1%포인트 하락, 시장점유율은 13%로 글로벌 3위를 유지했다. 이어 오포(OPPO)와 비보(VIVO)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각각 2%포인트와 1%포인트 하락해 각각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캐널리스의 분석에 따르면, 스마트폰 업체들은 올해 수익성과 시장점유율 돌파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임할 전망이다. 샤오미의 경우에는 글로벌 프리미엄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이미 지난해 4분기에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샤오미의 글로벌 전략이 안정적인 운영과 강인함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샤오미는 지난해 12월 프리미엄 신제품 샤오미 13시리즈를 발표해 판매량 선두를 달리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샤오미는 12월 마지막 2주 연속 중국 본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4000~6000위안 가격대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샤오미는 샤오미13 시리즈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의 세계화를 공략하는 동시에 올해 샤오미의 이익 구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경제 더보기
- 스타벅스, 베이징∙상하이에서 ‘커브사이드 픽업’ 서비스 출시
- 중국 소비 회복에 택배 업계 성장가도 달린다!
- 나이키 CEO, 중국 시장 회복에 만족… 글로벌 시장 3분기 매출 14% 증가
- 中 ‘인구 보너스’ 에서 ‘인재 보너스’로 전환 중
- 中 1주택 부동산 담보 대출 3%대 진입…시장 회복은 ‘아직’
- 정치 더보기
- 시진핑, 국가주석 '3연임' 확정
- 한 눈으로 보는 양회·정부 업무보고 ‘2023 전망’
- 이제 '만수르'보다 '빈살만'
- 中정부 "한국은 전염병 방역 조치 정치화 말라"
- 중일 수교 50주년, 그러나 여전히 위태로운 중·일 관계
- 문화/생활 더보기
- 中 노동절 연휴 해외여행 예약, 지난해보다 17배 증가
- 올해 최악의 황사로 진흙비 내린 장춘
- 이달 26부터 상하이 홍차오공항 국제선 재개
- 자동차 키 완벽 대체하는 비야디 ‘스마트워치’ 4월 출시
- 中 의료진 "A형 독감 정점 지났다"
- 사회 더보기
- 중국 행복지수 32개국 중 1위, 한국은 31위
- 中 SNS 강타한 ‘대나무통’음료가 뭐길래?
- 올해 청명절 휴가는 단 1일!
- “남친이 공안인데, 감히 날 건드려?” 대리운전사 폭행한 상하이 여성의 최후
- 中 출산장려책으로 ‘2·3자녀 고입시험에 가산점’ 논란
- IT/과학 더보기
- 中 사이버 폭력 단속... 아이디 8511개 처벌, 위법 정보 401만건 차단
- 中 네티즌 수 10억 6700만…인터넷 보급률 75.6%
- 마오타이도 ‘메타버스’ 게임 출시…상위권만 한정판 제품 구매 논란
- 아이폰 14 비용, 중국인 연봉의 12% vs 미국인 연봉의 1.8%
- 홍콩대, 챗GPT·AI 도구 사용 금지!
- 교육/유학 더보기
- 中 2023년 대학 졸업생 1158만 역대 최다… 석∙박사 비중↑
- 2022년에도 전 세계 중국어 배우기 계속, 30대 이하가 80%
- 中 코로나19 봉쇄조치로 등교 못한 학생들, 학비 감면 받을 수 있나?
- 중국 대학의 치열한 인재 쟁탈 대전
- 상하이시 모든 학교 ‘온라인 수업 전환’ 사실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