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경제 > 경제일반

▲사진출처 : 펑파이신문(澎湃新闻)
중국의 주요 수출 지표가 공개되었다. 리튬 배터리와 자동차 수출이 크게 늘었고 민영기업의 수출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국무원 신문 판공실(国新办)의 2022년도 수출입 상황 뉴스 브리핑이 13일 열렸다고 펑파이신문(澎湃新闻)이 전했다. 2022년 한해 중국의 수출입 상황은 크게 5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수출입 강세로 그 규모가 커졌다. 2022년 중국 수출입 총 가치는 처음으로 40조 위안 관문을 통과했다. 42조 7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 수출은 23조 9700억 위안으로 10.5% 증가한 반면 수입은 18조 1000억 위안으로 4.3% 증가에 그쳤다. 높은 성장세를 보였던 2021년에 비해 안정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그 규모도 역대 최고, 6년 연속 화물 무역 세계 1위국의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특히 3분기는 수출입 규모가 11조 3000억 위안을 넘어서며 분기 규모로는 역대 최고였다.
둘째, 교역국과의 원만한 관계 유지다. 2022년 동남아, 유럽연맹, 미국으로 각각 6조 5200억 위안, 5조 6500억 위안과 5조 500억 위안을 수출했다. 동남아는 15%, 유럽은 5.6%, 미국은 3.7% 증가했다.
셋째, 일반 무역 증가가 빨라지고 비중이 높아졌다. 일반 무역 수출입 규모는 26조 81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다.
넷째, 무역 주체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지난 해 수출입에 성공한 무역회사는 59만 8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다. 민영 기업은 51만 개로 7%나 증가했고 수출입 규모는 21조 4000억 위안으로 12.9%가 증가했고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로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중국산 주력 제품 수요가 증가했다는 점이다. 중국 가전 제품 수출입 규모는 20조 66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고 전체 비중은 49.1%에 달한다. 태양에너지 배터리, 리튬 배터리와 자동차 수출입은 각각 67.7%, 86.7%, 그리고 82.2% 증가했다.
한편 뤼다량(吕大良) 해관총서 언론 대변인은 “올해는 대외무역 발전에 유리한 조건이 많아져 대외무역 규모와 구조가 탄탄해질 것” 이라면서 올해 중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반등할 것으로 기대했다.
- 경제 더보기
- 스타벅스, 베이징∙상하이에서 ‘커브사이드 픽업’ 서비스 출시
- 중국 소비 회복에 택배 업계 성장가도 달린다!
- 나이키 CEO, 중국 시장 회복에 만족… 글로벌 시장 3분기 매출 14% 증가
- 中 ‘인구 보너스’ 에서 ‘인재 보너스’로 전환 중
- 中 1주택 부동산 담보 대출 3%대 진입…시장 회복은 ‘아직’
- 정치 더보기
- 시진핑, 국가주석 '3연임' 확정
- 한 눈으로 보는 양회·정부 업무보고 ‘2023 전망’
- 이제 '만수르'보다 '빈살만'
- 中정부 "한국은 전염병 방역 조치 정치화 말라"
- 중일 수교 50주년, 그러나 여전히 위태로운 중·일 관계
- 문화/생활 더보기
- 中 노동절 연휴 해외여행 예약, 지난해보다 17배 증가
- 올해 최악의 황사로 진흙비 내린 장춘
- 이달 26부터 상하이 홍차오공항 국제선 재개
- 자동차 키 완벽 대체하는 비야디 ‘스마트워치’ 4월 출시
- 中 의료진 "A형 독감 정점 지났다"
- 사회 더보기
- 중국 행복지수 32개국 중 1위, 한국은 31위
- 中 SNS 강타한 ‘대나무통’음료가 뭐길래?
- 올해 청명절 휴가는 단 1일!
- “남친이 공안인데, 감히 날 건드려?” 대리운전사 폭행한 상하이 여성의 최후
- 中 출산장려책으로 ‘2·3자녀 고입시험에 가산점’ 논란
- IT/과학 더보기
- 中 사이버 폭력 단속... 아이디 8511개 처벌, 위법 정보 401만건 차단
- 中 네티즌 수 10억 6700만…인터넷 보급률 75.6%
- 마오타이도 ‘메타버스’ 게임 출시…상위권만 한정판 제품 구매 논란
- 아이폰 14 비용, 중국인 연봉의 12% vs 미국인 연봉의 1.8%
- 홍콩대, 챗GPT·AI 도구 사용 금지!
- 교육/유학 더보기
- 中 2023년 대학 졸업생 1158만 역대 최다… 석∙박사 비중↑
- 2022년에도 전 세계 중국어 배우기 계속, 30대 이하가 80%
- 中 코로나19 봉쇄조치로 등교 못한 학생들, 학비 감면 받을 수 있나?
- 중국 대학의 치열한 인재 쟁탈 대전
- 상하이시 모든 학교 ‘온라인 수업 전환’ 사실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