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문화/생활 > 여행/레저
중국 방문 외국인 10명당 1.5명은 한국인
작년 메르스 영향으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수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외국인 입국자 2명 중 1명이 중국인인 것은 눈에 띄는 대목이다. 지난해 외국인 총 입국자 1335만9701명 중 중국인이 615만4730명을 차지했다. 홍콩과 타이완, 마카오 거주자를 포함하면 비중은 더 늘어난다.
그렇다면 중국을 찾는 한국인은 얼마나 될까? 중국 주요도시의 한국 교민 수는 어떤 기관과 단체도 정확한 자료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입국자 수를 바탕으로 최소한 교민 사회 규모를 가늠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인들의 주요 입국 경로와 목적을 분석해 보면 경기 흐름까지도 발견할 수 있다.
중국 입국 한국인 444만명, 일본인 250만명
2015년 중국본토를 방문한(경유 포함) 외국인은 모두 2598만5400명이다. 이중 한국인이 444만명으로 전체 방문자 중 17%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일본인이 250만명, 미국인이 209만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100만명 이상 방문자 국적은 러시아 158만명, 말레이시아 108만명, 몽고 101만명, 필리핀 100만명이다.
한국인 입국 목적은 관광이 45.5%, 회의 및 비즈니스가 24.9%의 높은 비중을 나타났다. 북한은 관광이 0.8%인데 반해 노무 및 승무원 비중이 50%로 필리핀 67.4% 다음으로 높았다. 최근 중일관계 악화로 일본인 입국자는 2010년 131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작년에는 77만명으로 감소했다. 관광객비중은 줄었지만 비즈니스 방문 비중은 31.2%로 경제교류는 꾸준히 이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캐나다 국적자들은 23.6%가 친지방문으로 중국인 이민자가 많은 것이 그 이유로 분석된다.
성별로는 대부분 여성비율이 적지만 태국은 51.4%, 러시아는 51.5%가 여성으로 나타났다.
상하이 입국 한국인 14% 늘어
중국을 찾은 한국인 중 66만3379명이 중국 입국지로 상하이를 선택했다. 이는 동기대비 14% 늘어난 수치다. 그 뒤를 이어 톈진(52만3918만명), 베이징(41만5887)이 한국인의 중국 입국을 위한 주요 경로인 것으로 조사됐다. 상하이는 동아시아 유일의 국제도시로 인정받는 중국 금융, 서비스 산업의 중심지이자 최대 무역항이다. 또한 푸동국제전람관, 엑스포박람관을 비롯해 작년부터 운영에 들어간 국가전시관에는 글로벌 규모의 전시회가 1년 내내 끊이지 않아 외국인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섬유, 의류, 화공 등 전통 제조업이 밀집한 화동지역 관문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
상하이는 일본인 입국자가 76만7433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10년 만에 30% 감소한 수치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입국자를 유지했던 미국인은 작년 처음으로 한국과 자리를 맞바꾸고 63만6377명을 기록했다. 그 뒤로 필리핀인이 전년대비 52.7% 증가한 31만명, 독일인 25만명, 영국인 18만명, 프랑스인 17만명을 기록해 수도인 베이징보다 많았다.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중국 입국자 3위를 유지하던 러시아는 2012년부터 급속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유가하락과 경기악화에 따른 루블화 약세로 중국 입국자 절반 이상을 점유하던 여행객들이 급감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디즈니 특수’ 방문객 꾸준히 늘 것
상하이 입국 한국인 수 증가와 관련해 상하이총영사관 정경록 상무영사는 “경제적 측면에서 봤을 때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문화컨텐츠, 의류 등 한국 소비재에 대한 중국의 관심이 여전히 높다. 지방정부가 한국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 또한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 경제 침체에 따라 창업과 취업의 기회를 찾아 중국으로 오는 젊은이도 많다”고 덧붙였다.
또한 한국관광공사 상하이사무소 관계자는 “양국간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교육, 비즈니스, 개별관광, 단체관광 수요가 전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라며 “상하이 디즈니랜드 오픈 이슈도 관광 심리를 자극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작년 메르스 영향으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수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외국인 입국자 2명 중 1명이 중국인인 것은 눈에 띄는 대목이다. 지난해 외국인 총 입국자 1335만9701명 중 중국인이 615만4730명을 차지했다. 홍콩과 타이완, 마카오 거주자를 포함하면 비중은 더 늘어난다.
그렇다면 중국을 찾는 한국인은 얼마나 될까? 중국 주요도시의 한국 교민 수는 어떤 기관과 단체도 정확한 자료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입국자 수를 바탕으로 최소한 교민 사회 규모를 가늠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인들의 주요 입국 경로와 목적을 분석해 보면 경기 흐름까지도 발견할 수 있다.
중국 입국 한국인 444만명, 일본인 250만명
2015년 중국본토를 방문한(경유 포함) 외국인은 모두 2598만5400명이다. 이중 한국인이 444만명으로 전체 방문자 중 17%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일본인이 250만명, 미국인이 209만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100만명 이상 방문자 국적은 러시아 158만명, 말레이시아 108만명, 몽고 101만명, 필리핀 100만명이다.
한국인 입국 목적은 관광이 45.5%, 회의 및 비즈니스가 24.9%의 높은 비중을 나타났다. 북한은 관광이 0.8%인데 반해 노무 및 승무원 비중이 50%로 필리핀 67.4% 다음으로 높았다. 최근 중일관계 악화로 일본인 입국자는 2010년 131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작년에는 77만명으로 감소했다. 관광객비중은 줄었지만 비즈니스 방문 비중은 31.2%로 경제교류는 꾸준히 이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캐나다 국적자들은 23.6%가 친지방문으로 중국인 이민자가 많은 것이 그 이유로 분석된다.
성별로는 대부분 여성비율이 적지만 태국은 51.4%, 러시아는 51.5%가 여성으로 나타났다.
상하이 입국 한국인 14% 늘어
중국을 찾은 한국인 중 66만3379명이 중국 입국지로 상하이를 선택했다. 이는 동기대비 14% 늘어난 수치다. 그 뒤를 이어 톈진(52만3918만명), 베이징(41만5887)이 한국인의 중국 입국을 위한 주요 경로인 것으로 조사됐다. 상하이는 동아시아 유일의 국제도시로 인정받는 중국 금융, 서비스 산업의 중심지이자 최대 무역항이다. 또한 푸동국제전람관, 엑스포박람관을 비롯해 작년부터 운영에 들어간 국가전시관에는 글로벌 규모의 전시회가 1년 내내 끊이지 않아 외국인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섬유, 의류, 화공 등 전통 제조업이 밀집한 화동지역 관문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
상하이는 일본인 입국자가 76만7433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10년 만에 30% 감소한 수치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입국자를 유지했던 미국인은 작년 처음으로 한국과 자리를 맞바꾸고 63만6377명을 기록했다. 그 뒤로 필리핀인이 전년대비 52.7% 증가한 31만명, 독일인 25만명, 영국인 18만명, 프랑스인 17만명을 기록해 수도인 베이징보다 많았다.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중국 입국자 3위를 유지하던 러시아는 2012년부터 급속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유가하락과 경기악화에 따른 루블화 약세로 중국 입국자 절반 이상을 점유하던 여행객들이 급감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디즈니 특수’ 방문객 꾸준히 늘 것
상하이 입국 한국인 수 증가와 관련해 상하이총영사관 정경록 상무영사는 “경제적 측면에서 봤을 때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문화컨텐츠, 의류 등 한국 소비재에 대한 중국의 관심이 여전히 높다. 지방정부가 한국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 또한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 경제 침체에 따라 창업과 취업의 기회를 찾아 중국으로 오는 젊은이도 많다”고 덧붙였다.
또한 한국관광공사 상하이사무소 관계자는 “양국간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교육, 비즈니스, 개별관광, 단체관광 수요가 전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라며 “상하이 디즈니랜드 오픈 이슈도 관광 심리를 자극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경제 더보기
- 中 '이구환신' 정책 힘입어 올해 승용차 소매판매 6% 성장 전망
- 틱톡, 캐나다 ·미국 정부 압박에 '사면초가'
- 中 중앙경제공작회의 "내년 재정적자율 높이고 적시 금리 인하"
- 야쿠르트, 20년 운영한 상하이 공장 멈췄다
- 中 노령화 대비 ‘개인 연금제’ 15일부터 전국 확대 시행
- 정치 더보기
- 中언론, 尹탄핵에 “청와대 떠났지만, 저주 자초”
- 윤 ‘중국 간첩’ 언급에 中 “심히 놀랍고 불만”…누리꾼 “헛소리” 거센 반발
- 中 언론, "韓탄핵 화살, 활시위에"… 누리꾼 “드라마보다 흥미진진”
- 도대체 왜? 中 언론, 尹 비상계엄령 선포 배경에 관심
- 中언론, 윤대통령 비상계엄령 소식 일제히 보도… 누리꾼 “서울의 봄?”
- 문화/생활 더보기
- 올해 상하이 찾은 외국인 400만 명 돌파
- “퇴근하고 중국 가자!” 中 무비자 정책에 韩 주말 여행객 급증
- 上海 외국계 ‘독자’ 병원 들어선다
- 中, 한국 무비자 체류 기간 15일 → 30일로 연장… 일본도 '무비자' 포함
- 中 하늘 나는 ‘eVTOL’ 상용화에 박차… ‘저고도 경제의 원년’ 선포
- 사회 더보기
- 中 코로나 영웅이 라방으로 단백질바 판매? 알고보니 ‘딥페이크’
- ‘윤 대통령 체포 요구 결의안 통과’에 中 포털 화들짝… 실시간 검색 1위!
- 中 가짜 다운재킷 7만벌 적발… 거위털 함량 0% 충격!
- 상해한국상회 회장 선거 12년만에 ‘경선’... 박상민 vs 탁종한
- 中 근무 시간 낮잠 잤다가 해고된 남성, '35만 위안 배상' 판결 받아
- IT/과학 더보기
- 애플, 中아이폰에 바이두 AI 도입…단, 개인정보 이견 ‘걸림돌’
- 중국 실명제 SNS의 시초 런런망, 서비스 중단
- 中 산업용 로봇 밀도, 독일·일본 제치고 3위 우뚝…1위는 ‘한국’
- 화웨이, 역대 가장 강력한 Mate70 출시 예고…사전예약자 300만 명
- 중국 게임 '오공' 게임계 오스카상 ‘TGA’ 4개 부문 노미네이트
- 교육/유학 더보기
- 재중 납세자를 위한 ‘한·중 세무설명회’ 개최
- 세계 EMBA 순위 공개, 중국 CEIBS 세계 랭킹 1위
- 상하이총영사관, 오는 16일 ‘CSR‧ESG‧세무‧지재권’ 설명회 연다
- 中 언론 “신입생 부족한 韓고교, 중국인반 개설하며 中 학생에 ‘눈독’”
- 2024년도 가오카오, 6월 7~9일 실시... 작년보다 51만명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