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IT/과학 > 게임

중국 모바일게임 업체 37곳의 11월 매출액이 22억3000만 달러(약 2조 6247억원)를 넘어서며 글로벌 총 매출액의 38.3%를 차지했다.
모바일 시장 조사 업체 센서타워(Sensor Tower)가 7일 발표한 11월 중국 모바일게임 업체의 글로벌 앱스토어 및 구글 플레이의 매출 순위에서 중국의 33개 업체가 11월 글로벌 매출액 규모가 22억3000만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10월의 23억8000만 달러를 다소 밑돌지만, 전 세계 모바일게임 총 매출액의 38.3%를 차지한다고 상해증권보(上海证券报)는 8일 전했다.
매출 순위별로는 텐센트(腾讯), 넷이즈(网易), 미하유(米哈游)가 나란히 1~3위를 기록했다. A주 업체에서는 싼치뮤추얼(三七互娱), 기가비트 썬더게임, 퍼펙트월드, 유즈네트워크가 각각 5위, 11위, 21위와 26위에 올랐다.
올해도 중국 모바일게임의 해외시장 실적은 견고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감마데이터가 최근 발표한 '2021 게임산업 발전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중국이 자체 연구개발한 게임의 해외시장 실제 매출액은 170억 달러를 돌파해 지난해 154억5000만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게임 업계 관계자는 "해외 다각화 세분화의 기회가 있는 만큼 중국 게임업체의 글로벌 시장 확대는 여전히 기대된다"고 밝혔다. 해외 게임업체는 이미 AR/VR게임 등의 신흥 게임 영역에 진입했으며, 중국 개발업체 역시 글로벌 게임시장의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빠르게 성장하는 세부화된 트랙에 순조롭게 진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당국이 게임 서비스를 허가하는 판호(版号)를 제한하는 게임판호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오히려 업계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A주 게임업체의 한 관련인사는 "2018년 게임산업의 판호 시정에 비해 이번 정책의 핵심은 미성년자 보호에 있다"면서 "따라서 게임의 품질 및 규정준수 요구사항이 더욱 세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따라서 이런 추세대로라면 선두업체는 규제 변화에 즉시 대응하며 산업 집중도가 높아져 산업 구조의 최적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11월 28일(토) 아침 7시 30분 SBS 첫 방영
- 경제 더보기
- 中 전문가 “코로나 이후 ‘보복 소비’ 없을 것”
- 中 봉쇄 타격에 4월 주요 경제지표 ‘추락’
- 中 ‘부동산 살리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낮춰
- 中 PCR 검사 요원 ‘인력난’…최소 100만 명 모집
- 상하이 新 기업 생산 재개 가이드라인
- 정치 더보기
- 美 상하이총영사관 철수령에 中 “정치적 이용 말라!”
- 中 매체 “윤석열 ‘초박빙’ 대선 승리”… 사드 추가배치, 대중 강경 노선 주장
- 상하이 6281명 투표, 단일투표소 세계 1위
- 中 ‘양회’ 4일 개막…경제 관전포인트 ‘세 가지
- 상하이 재외투표 첫날 785명 참여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 문화/생활 더보기
- 上海 23일부터 출입국 신체검사 업무 재개
- 상하이, 22일부터 공항•기차역•병원 연결 대중교통 운행 재개
- 中 입국검역 일부 완화… 미국 등 입국 전 혈청검사 ‘취소’
- 中 오미크론 보다 전파력 강한 BA.2.12.1 첫 감염자 발생
- 상하이 16일부터 일부 국내항공편 운항 재개
- 사회 더보기
- 中 신규 본토 감염자 174+628, 상하이 55+503
- 中 본토 감염 191+825… 상하이 5일 연속 ‘사회면 칭링’
- 上海 타 지역区 제한적으로 이동 허용
- 中 본토 신규 감염자 227+1000, 상하이 96+759
- 上海 대형 마트 속속 영업 재개… 일상 회복 가속화
- IT/과학 더보기
- 中 8개월 만에 게임 서비스권 발급… 온라인게임 45개 승인
- 야후 이메일, 중국 본토 사용 중단
- 中 네티즌 수 10억명 돌파, 1인 평균 매주 28.5시간 인터넷 사용
- 中 국가혁신능력 세계 12위
- 2021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 교육/유학 더보기
- 중국 명문대들 잇따라 ‘세계대학순위’ 탈퇴 선언
- 상하이, 가오카오 7월 7~9일로 한 달 연기
- 중국 대학 인기 학과 Best 6
- 中 학원 과외 사교육 기관 90% 급감
- 대선 앞두고 “재외한국학교 초등 무상교육 약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