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교육/유학 > 교육일반



중국 대형 사교육 기업인 징루이교육(精锐教育)이 10월 12일 부로 운영을 중단했다. 학업과 사교육 부담을 줄이겠다는 중국 정부의 ‘쌍감(双减)’ 정책의 여파다.
13일 신경보(新京报)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징루이교육 상하이 본사 건물 앞에는 학원 수강생의 학부모들이 환불 신청을 위해 길게 줄지어 있었다.
한 학부모는 “아직 환불을 못한 원생 대부분은 예치금이 30만 위안(5500만원) 정도이고 많게는 50만 위안(9000만원)을 넘는 원생도 있다”고 말했다.
2일 징루이교육 이사장 사무실은 전 직원에게 보내는 서신을 통해 “최근 징루이교육은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회사는 온갖 방법과 노력을 동원했으나 더 이상 정상 운영을 유지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주주 및 경영진의 신중한 결정 끝에 10월 12일부터 운영을 중단키로 결정했다”고 통보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인 자금 부족으로 임금이 제때 지급되지 않은 점은 회사의 가장 큰 부끄러움”이라며 자책과 사과의 말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 11일부터 징루이교육은 직원들에게 급여 지급을 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기존 진행되던 수업까지 중단되면서 수십만 위안, 많게는 100만 위안에 달하는 학비를 지급한 학부모들은 환불을 위하 현재 법률 소송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징루이교육의 환불 문제는 해당 기업 산하의 샤오샤오디치우(小小地球), 즈후이슈에탕(至慧学堂) 등 다수 브랜드에도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생 연령대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다양했고 학비는 1~10만 위안 사이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된 징루이교육 주가는 11일 0.4달러로 마감하면서 역대 최고가 대비 97% 하락했다.
11월 28일(토) 아침 7시 30분 SBS 첫 방영
- 경제 더보기
- 중국 1000만 대졸 취준생들이여, 전국 향촌으로 떠나라?
- 에어비엔비, 중국 본토 사업 접는다
- 中 ‘봉쇄 타격’에 경기부양 33개 조치 발표
- 상하이, 6월부터 쇼핑몰 전면 재개… 입장객 75%로 확대
- 中 전문가 “코로나 이후 ‘보복 소비’ 없을 것”
- 정치 더보기
- 美 상하이총영사관 철수령에 中 “정치적 이용 말라!”
- 中 매체 “윤석열 ‘초박빙’ 대선 승리”… 사드 추가배치, 대중 강경 노선 주장
- 상하이 6281명 투표, 단일투표소 세계 1위
- 中 ‘양회’ 4일 개막…경제 관전포인트 ‘세 가지
- 상하이 재외투표 첫날 785명 참여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 문화/생활 더보기
- 上海 지하철 “검체 채취부터 48시간 이내 증명서만 유효”
- 핵산검사비 16元... 다인 혼합검사 5元으로 추가 인하
- 상하이 ‘사회면’서 감염자 발생하면? 퇴원 환자 후속 조치는?
- 上海 23일부터 출입국 신체검사 업무 재개
- 상하이, 22일부터 공항•기차역•병원 연결 대중교통 운행 재개
- 사회 더보기
- 中 본토 확진 80+274, 상하이 45+219
- 中 본토 감염 104+356… 상하이 307명 두 달여 만에 ‘최저’
- 봉쇄 두 달째 주차비만 6000위안? “주차비 감면 추후 논의”
- 中 본토 감염자 102+418, 상하이 44+343
- 中 본토 감염 141+498… 상하이 400명대로 감소
- IT/과학 더보기
- 中 8개월 만에 게임 서비스권 발급… 온라인게임 45개 승인
- 야후 이메일, 중국 본토 사용 중단
- 中 네티즌 수 10억명 돌파, 1인 평균 매주 28.5시간 인터넷 사용
- 中 국가혁신능력 세계 12위
- 2021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 교육/유학 더보기
- 상하이 6월 6일부터 고2,3 등교 시작… 중3은 13일부터
- 12년 로컬학교 경험에서 터득한 중국어 공부법
- 중국 명문대들 잇따라 ‘세계대학순위’ 탈퇴 선언
- 상하이, 가오카오 7월 7~9일로 한 달 연기
- 중국 대학 인기 학과 Bes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