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문화/생활 > 문화/예술

공식적으로는 한국 콘텐츠는 중국 동영상 플랫폼에서 서비스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 6년 만에 한국 영화가 텐센트 OTT 플랫폼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22일 웨이보(微博)의 ‘미투의 한류생활(迷途的韩流生活)’이라는 계정에서는 한국 언론에서 먼저 발표한 한국 콘텐츠 서비스 소식을 알렸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지난 22일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6년 동안 중국에서 수입 금지한 한국 영화 서비스가 재개된다”라며 “중국 OTT에서 우리나라 감독의 영화가 상영되기 시작했다”라고 발표했다. 김 수석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한중정상회담에서 “문화, 인적 교류 중요성, 소통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시진핑 중국 주석도 이에 공감했다”라며 “정상회담을 계기로 중국이 OTT조치로 화답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중국 OTT플랫폼인 텐센트 비디오(腾讯视频)에서 지난 2018년 제작된 홍상수 감독의 ‘강변호텔’이 중국 당국의 허가를 받아 11월 초부터 서비스 되고 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누리꾼들의 반응은 반반이었다. “서비스하면 뭐하나, 죄다 편집일텐데..”, “이럴거면 아예 서비스 하지 말자”라며 미지근한 반응과 “좋아요! 제발 이제는 예능 좀..”, “콘서트도 좀 서비스 해주시면 안될까요?..”라며 본격적으로 한국 콘텐츠를 서비스 해달라는 반응이 쏟아졌다.
- 경제 더보기
- 中 코로나 기간 모은 저축액 3234조원, 과연 풀릴까?
- 상하이·베이징 1인당 가처분소득 1500만원 육박
- 테슬라, “전기차 시장 2위는 중국기업”
- 춘절 중국인들 ‘소비’ 폭발…식당∙영화관∙면세점 행복한 비명
- 외신이 주목한 중국 춘절…중국 경제가 글로벌 경제 회복 견인
- 정치 더보기
- 중일 수교 50주년, 그러나 여전히 위태로운 중·일 관계
- 장쩌민 전 국가주석, 향년 96세 타계… 백혈병, 다발성 장기부전
- 中 언론 “오랜만에 만난 미·중 정상에 세계 긴장 완화”
- 갈수록 강해지는 중국 정부의 규제, 그 이유는?
- 상하이 당서기, 리창에서 천지닝(陈吉宁)으로 교체
- 문화/생활 더보기
- WHO “코로나19 여전히 국제사회 비상 사태”... 최고 등급 경보
- 상하이, 춘절 연휴 나흘 만에 관광객 569만명 맞아
- 中 애국영화 선봉배우 '우징', 개인 매출 5조원 돌파 中 영화사 1위!
- 춘절 연휴, 중국인 해외여행 640%↑
- 코로나 회복자, ‘미 감염자’간에 교차 감염 될까?
- 사회 더보기
- 中 2월부터 달라지는 것들
- 中, 중국 입국 한국인에 대한 전원 PCR 검사 부활
- “없어서 못 판다”…‘자터린(加特林)’ 폭죽이 뭐길래?
- 중국 본토 인구 14억 1175만 명
- 中 부부, 6년간 결혼증 6장, 이혼증 4장 보유
- IT/과학 더보기
- ‘잘나간다! 샤오미폰’ 시장점유율 중국 1위, 글로벌 3위
- 상하이 로봇산업 도시 육성에 2025년까지 18조원 투자
- 텐센트게임, 겨울방학·춘절 연휴 미성년자 게임시간 제한
- 中 국내외 온라인 게임 판호 대량 발급, 게임업계 ‘청신호’
- 트렌드를 이끄는 15초 '틱톡(Tik-tok)'
- 교육/유학 더보기
- 2022년에도 전 세계 중국어 배우기 계속, 30대 이하가 80%
- 中 코로나19 봉쇄조치로 등교 못한 학생들, 학비 감면 받을 수 있나?
- 중국 대학의 치열한 인재 쟁탈 대전
- 상하이시 모든 학교 ‘온라인 수업 전환’ 사실 아냐!
- 中 대학, 국경절 연휴 줄이고 겨울방학 늘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