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포토/동영상 > 사회 > 사회일반

실사판 ‘리틀 포레스트’가 이런 느낌일까? 쓰촨성의 산골마을에서 할머니와 살고 있는 한 중국 아가씨의 영상이 유튜브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12일 신랑재경(新浪财经)에 따르면 올해 29세인 리즈치(李子柒)는 지난 2016년부터 도시 생활을 접고 고향인 쓰촨성 핑우현(四川平武县)에 살면서 산골 생활을 영상으로 담아 온라인에 올리고 있다.

그녀가 인기 있는 영상 채널은 중국에서는 접속이 금지된 유튜브다. 현재 그녀의 채널 구독자수는 735만 명에 달한다. CNN 채널의 구독자수가 792만 명인 것에 비하면 일반인으로서 그녀의 인기가 얼마인지 알 수 있다. 봄부터 겨울까지 중국 시골의 사계절을 담았고 그녀의 특기인 ‘음식’영상이 주를 이뤘다.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 전통적인 도구들을 사용해 느리지만 건강하고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영상이 많다. 이 때문에 별도로 영어 자막을 쓰지 않아도 새소리, 밥짓는 소리,물 흐르는 소리 만으로도 힐링이 된다는 해외 구독자들이 많이 늘고 있다.

대부분의 영상들의 조회수는 평균 500만 뷰 이상이었고 그녀의 이름 석자를 유튜브에 알린 ‘란저우 우육면(兰州牛肉面)’만드는 영상의 조회수는 5000만 뷰에 달한다.

해외 팬들은 “우리가 몰랐던 중국 문화를 알게 해줬다”며 문화 외교관이라고 극찬했지만 중국 내에서는 오히려 흠집 내려는 사람들이 많다. 일부 누리꾼들은 “모든 배경은 조작된 것”, “영상은 전문 영상팀에서 촬영한다더라”, “금수저라더라” 등 각종 ‘카더라’ 소식이 난무한 가운데 리즈치는 줄곧 삼각대에 의지해 영상을 촬영하고 직접 편집한다고 말할 뿐 별다른 반응은 보이지 않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리즈치는 웨이넨커치(微念科技)라는 MCN(다중채널네트워크)회사, 즉 유튜브 스타들의 기획사 개념인 회사에 소속되어 있다. 이 회사의 투자자 중에는 중국의 트위터, 신랑웨이보(新浪微博)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웨이보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유명 ‘왕홍’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중국 본토에서는 직접적으로 유튜브에 접속은 물론 업로드에 어려움이 있어 현재 타이완에서 그녀의 영상을 업로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1월 28일(토) 아침 7시 30분 SBS 첫 방영
- 경제 더보기
- 中 5월 신에너지차 생산·판매 전망치 웃돌며 호조세
- '디폴트' 헝다, 내달 기본 구조조정안 발표
- 中 1~5월 외자사용 규모 전년比 17.3% 증가
- ‘글로벌 브랜드 가치 100강’ 中기업 14곳 진입… 韓 삼성 유일
- 中 5월 경제 회복세…2분기 플러스 성장할까?
- 정치 더보기
- 美 상하이총영사관 철수령에 中 “정치적 이용 말라!”
- 中 매체 “윤석열 ‘초박빙’ 대선 승리”… 사드 추가배치, 대중 강경 노선 주장
- 상하이 6281명 투표, 단일투표소 세계 1위
- 中 ‘양회’ 4일 개막…경제 관전포인트 ‘세 가지
- 상하이 재외투표 첫날 785명 참여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 문화/생활 더보기
- 상하이 올해 첫 ‘고온 오렌지색경보’… 지난해보다 14일 빨라
- 中 해외 입국제한 완화 추세 ‘뚜렷’…국제선 증편, 비자 재개, 격리 단축
- 상하이 주재 외국인, 백신접종 재개
- 中 남부 ‘여름 독감’ 유행 비상
- 中 ‘핵산 검사 상시화’ 취소 지역 계속 증가
- 사회 더보기
- NIO, 上海 테스트 중 추락해 2명 사망
- 中 본토 신규 감염자 18+26… 상하이 2+1
- 상하이 민항구 ‘코로나 제로 단지’ 113곳 추가…홍차오전 12곳
- 中 본토 감염 13+18…상하이 봉쇄지역서 9명 발생
- 中언론 “韩 젊은이 5명 중 1명은 코인투자” 유일한 출세의 길로 여겨
- IT/과학 더보기
- 中 8개월 만에 게임 서비스권 발급… 온라인게임 45개 승인
- 야후 이메일, 중국 본토 사용 중단
- 中 네티즌 수 10억명 돌파, 1인 평균 매주 28.5시간 인터넷 사용
- 中 국가혁신능력 세계 12위
- 2021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 교육/유학 더보기
- ‘QS 세계대학평가’ 베이징∙칭화대 역대 최고 순위
- 상하이, 세계 명문대 50위권 졸업생에 上海 호적 준다
- 中 초등참고서 이번엔 ‘일본군’이 영웅처럼 등장
- 상하이 6월 6일부터 고2,3 등교 시작… 중3은 13일부터
- 12년 로컬학교 경험에서 터득한 중국어 공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