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포토/동영상 > 정치







중국이 1일 2시간 40분 남짓한 '건국 70주년 기념식' 행사를 갖고 초대형 스케일의 축하 퍼레이드와 함께 막강한 국력을 과시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경축 행사에서는 시진핑 주석이 1만 5천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열병식 사열을 시작으로 군 장병들이 시 주석 앞을 지나가며 위용을 과시하고 최첨단 무기들이 등장해 군사 강국의 면모를 드러냈다.
올해로 16번째 되는 열병식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1만 5천명으로, 59개 열병대와 연합군악단이 참가했다. 또 각종 비행기 160대, 군사장비 580대가 동원됐다.
또 올해는 장성급 군장교 참가가 가장 많은 열병식이었으며 여군 열병식에서는 최초로 장성급 여군장교가 배치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최초로 유엔평화유지군이 열병식에 참가하고 예비역 부대, 민병 등 제대가 열병식에 참가해 위용을 뽐냈다.
이날 열병식에서는 최신식 무기들도 대거 선보였다. 중국 공군의 첫 스텔스 전투기인 젠-20과 젠-10, 젠-11B 등 주력 전투기와 즈(直·Z)-20 같은 무장 헬리콥터가 공군 열병식에 나타났고 최신형 무인 정찰기 DR-8 초음속 드론도 모습을 드러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주목을 끈것은 이번에 최초로 공개된 대륙간탄도미사일 둥펑41(东风41)로, 한 번에 핵탄두 10개를 탑재할 수 있고 사정거리가 1만2000∼1만5000㎞에 달해 미국까지도 날아갈 수 있다. 또 둥펑-21D 대함 탄도미사일, 둥펑-17 초음속 미사일, 해상 발사 탄도미사일 쥐랑(巨浪·JL)-2 등 전략 핵미사일도 선보였다.
이날 '환구시보(环球时报)는 사설 논평을 통해 "'70주년 기념식은 신 시대 중국의 비범한 모습을 보여주는 행사"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중미 무역전쟁이 1년여동안 지속되고 있고 홍콩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는 와중에 중국의 웃음거리를 구경하고 싶어하는 세력들도 있다"면서 "그러나 이번 행사를 통해 중국인들에게 더욱 큰 자긍심과 자신감을 안겨줄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중국은 평화를 사랑하며 열병식은 중국이 군사(军事) 투명화를 위한 방식일뿐 무력 과시도, 군사적 위협 수단도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부 서방언론들이 중국의 70주년 기념식을 현재 '잠정적 요인'들과 연관시켜 떠들고 있으나 건국 기념식에서의 열병식은 과시가 아닌 중국의 오래된 전통일뿐이라고 강조했다.
11월 28일(토) 아침 7시 30분 SBS 첫 방영
- 경제 더보기
- 中 전문가 “코로나 이후 ‘보복 소비’ 없을 것”
- 中 봉쇄 타격에 4월 주요 경제지표 ‘추락’
- 中 ‘부동산 살리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낮춰
- 中 PCR 검사 요원 ‘인력난’…최소 100만 명 모집
- 상하이 新 기업 생산 재개 가이드라인
- 정치 더보기
- 美 상하이총영사관 철수령에 中 “정치적 이용 말라!”
- 中 매체 “윤석열 ‘초박빙’ 대선 승리”… 사드 추가배치, 대중 강경 노선 주장
- 상하이 6281명 투표, 단일투표소 세계 1위
- 中 ‘양회’ 4일 개막…경제 관전포인트 ‘세 가지
- 상하이 재외투표 첫날 785명 참여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 문화/생활 더보기
- 上海 23일부터 출입국 신체검사 업무 재개
- 상하이, 22일부터 공항•기차역•병원 연결 대중교통 운행 재개
- 中 입국검역 일부 완화… 미국 등 입국 전 혈청검사 ‘취소’
- 中 오미크론 보다 전파력 강한 BA.2.12.1 첫 감염자 발생
- 상하이 16일부터 일부 국내항공편 운항 재개
- 사회 더보기
- 中 신규 본토 감염자 174+628, 상하이 55+503
- 中 본토 감염 191+825… 상하이 5일 연속 ‘사회면 칭링’
- 上海 타 지역区 제한적으로 이동 허용
- 中 본토 신규 감염자 227+1000, 상하이 96+759
- 上海 대형 마트 속속 영업 재개… 일상 회복 가속화
- IT/과학 더보기
- 中 8개월 만에 게임 서비스권 발급… 온라인게임 45개 승인
- 야후 이메일, 중국 본토 사용 중단
- 中 네티즌 수 10억명 돌파, 1인 평균 매주 28.5시간 인터넷 사용
- 中 국가혁신능력 세계 12위
- 2021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 교육/유학 더보기
- 중국 명문대들 잇따라 ‘세계대학순위’ 탈퇴 선언
- 상하이, 가오카오 7월 7~9일로 한 달 연기
- 중국 대학 인기 학과 Best 6
- 中 학원 과외 사교육 기관 90% 급감
- 대선 앞두고 “재외한국학교 초등 무상교육 약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