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출처 : 매일경제신문(每日经济新闻)
올해 춘절 연휴 일부 도시에서는 단계적으로 폭죽놀이를 허용했다. 그 덕분에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도 즐거운 춘절 연휴를 보낼 수 있었다. 특히 자터린(加特林)이라는 이름의 폭죽은 돈이 있어도 못 살 정도로 전국적으로 인기였다.
26일 매일경제신문(每日经济新闻)에 따르면 지난 2019년에 처음 자터린이라는 폭죽이 세상에 나왔고 올해 유난히 그 인기가 치솟았다. 폭죽이라기보다는 하나의 ‘무기’처럼 보이는 이 폭죽은 실제로 벌컨이나 미니건으로 알려진 ‘개틀링건’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치 이 총처럼 폭죽 여러 개가 회전하면서 엄청난 굉음과 함께 발사된다.

온라인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한 것은 지난 1월 21일 산동 타이안(泰安)에 사는 한 중년 여성이 자터린을 터뜨리는 영상이 공개된 후다. 살면서 처음으로 자터린을 터뜨려본다는 이 여성은 마치 전쟁터를 방불케하는 제스처와 액션으로 보는 사람들을 즐겁게 했다. 약 10초 가량의 이 영상은 이미 10만 회 이상 공유되고 댓글만 3000개 이상이 달렸다. 대부분이 “이게 바로 자터린을 터뜨리는 모습의 정석이다”라고 할 정도로 큰 호응을 얻었다.
이후 SNS에서는 서로 경쟁이라도 하듯 너도나도 자터린 영상을 제작해서 업로드 하기 시작했다. 젊은 남성 5~6명이서 마치 군인들이 행진을 하듯 각 맞춰 걷고, 저마다 가져온 자터린을 물가를 향해 발포했다. 폭죽이라고 말하지 않으면 진짜 총기라고 여길 정도로 굉음과 연기가 자욱하다. 이후에도 여러 사람이 모여 자터린을 터뜨리는 모습 등이 공개되었고 “자터린을 터뜨려야 진정한 춘절을 보낸 것이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자터린에 ‘진심’이 되었다.

직접 만들어 쓰거나 아예 짝퉁까지 시중에 판매되면서 안전사고도 발생했다.

한 여성은 자터린의 사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고 발화 위치를 제대로 잡지 못해 그대로 불빛이 얼굴로 향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일부 철없는 운전자는 썬루프에 자터린을 터뜨리면서 주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국가소방구조국은 공식 웨이보에 아예 자터린의 화력 실험 영상을 올려 시민들의 경각심을 고조시켰다. 실험 결과 2층 높이에 걸려있는 이불도 자터린으로 쏘자 한 줌의 재로 변할 정도로 화력이 강했다. 폭죽 분사 후 화구 온도는 여전히 240도 이상이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도 있고 분사되면서 잔여물이 날아가면서 눈에 들어갈 위험성도 있어 각별한 주의를 요했다
찾는 사람이 많아지자 가격은 당연히 고공행진했다. 원래도 춘절 연휴 직전이 폭죽 가격이 제일 비싼 시기지만 유독 자터린 가격만 미친듯이 올랐다. 출고가 20위안의 자터린 1개가 5배 이상 높은 100위안 이상에 거래되기도 했다. 생산 원가가 높은 파란빛 자터린의 경우 출고가 50~70위안이 200위안까지 높아지는 경우도 많았다. 너무 찾는 사람이 많자 일부 매장에서는 일정 금액 이상 구매자에게만 판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제 더보기
- 스타벅스, 베이징∙상하이에서 ‘커브사이드 픽업’ 서비스 출시
- 중국 소비 회복에 택배 업계 성장가도 달린다!
- 나이키 CEO, 중국 시장 회복에 만족… 글로벌 시장 3분기 매출 14% 증가
- 中 ‘인구 보너스’ 에서 ‘인재 보너스’로 전환 중
- 中 1주택 부동산 담보 대출 3%대 진입…시장 회복은 ‘아직’
- 정치 더보기
- 시진핑, 국가주석 '3연임' 확정
- 한 눈으로 보는 양회·정부 업무보고 ‘2023 전망’
- 이제 '만수르'보다 '빈살만'
- 中정부 "한국은 전염병 방역 조치 정치화 말라"
- 중일 수교 50주년, 그러나 여전히 위태로운 중·일 관계
- 문화/생활 더보기
- 中 노동절 연휴 해외여행 예약, 지난해보다 17배 증가
- 올해 최악의 황사로 진흙비 내린 장춘
- 이달 26부터 상하이 홍차오공항 국제선 재개
- 자동차 키 완벽 대체하는 비야디 ‘스마트워치’ 4월 출시
- 中 의료진 "A형 독감 정점 지났다"
- 사회 더보기
- 중국 행복지수 32개국 중 1위, 한국은 31위
- 中 SNS 강타한 ‘대나무통’음료가 뭐길래?
- 올해 청명절 휴가는 단 1일!
- “남친이 공안인데, 감히 날 건드려?” 대리운전사 폭행한 상하이 여성의 최후
- 中 출산장려책으로 ‘2·3자녀 고입시험에 가산점’ 논란
- IT/과학 더보기
- 中 사이버 폭력 단속... 아이디 8511개 처벌, 위법 정보 401만건 차단
- 中 네티즌 수 10억 6700만…인터넷 보급률 75.6%
- 마오타이도 ‘메타버스’ 게임 출시…상위권만 한정판 제품 구매 논란
- 아이폰 14 비용, 중국인 연봉의 12% vs 미국인 연봉의 1.8%
- 홍콩대, 챗GPT·AI 도구 사용 금지!
- 교육/유학 더보기
- 中 2023년 대학 졸업생 1158만 역대 최다… 석∙박사 비중↑
- 2022년에도 전 세계 중국어 배우기 계속, 30대 이하가 80%
- 中 코로나19 봉쇄조치로 등교 못한 학생들, 학비 감면 받을 수 있나?
- 중국 대학의 치열한 인재 쟁탈 대전
- 상하이시 모든 학교 ‘온라인 수업 전환’ 사실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