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사회 > 사건/사고


부당 해고로 피해 직원에게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법원 판결을 받은 사장이 거액을 모두 동전으로 바꿔 지급하는 ‘소심한 복수’를 했다가 되레 벌금형에 처해졌다.
최근 창사시(长沙市)카이푸구(开福区) 인민법원은 모 건강관리회사가 노동쟁의사건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고의로 거액을 동전으로 바꿔 사건대금을 지급한 행위를 처벌했다고 공부재경(共富财经)은 전했다.
앞서 샤오란(가명)씨는 창사시의 한 건강 관리 회사에 입사해 수습 사원으로 매월 7200위안의 임금을 받았다. 하지만 출근한 지 열흘 만에 아무 이유 없이 해고되었다. 노동 중재 후 회사는 샤오란씨에게 임금과 배상금으로 총 1만 위안을 지불해야한다고 통보했다. 하지만 회사는 지급을 차일피일 미뤘다.
한참이 지나서야 회사는 지불해야 할 1만 위안을 모두 동전으로 바꾸었다. 무게만 122근(73.2Kg)에 달했다. 회사 사장은 이 엄청난 양의 동전더미들을 모으기 위해 직원들에게 여러 은행을 통해 환전을 시킨 후 집행 사건 대금을 지불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법원은 “동전은 이 사건 피집행인이 일상적인 경제 활동에서 자주 사용되는 화폐에 해당하지 않으며, 고의적인 환전 행위는 집행에 부정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어 사법공무원의 직무집행을 방해한 것”이라면서 “법에 따라 처벌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22일 창사시 카이푸구 인민법원 집행경찰은 피집행인 모 건강관리회사를 찾아 벌금 결정서를 송달했다. 피집행인 회사의 법정 대표 왕 모씨는 벌금 5000위안을 부과 받았다.
- 경제 더보기
- 마윈, 정다그룹과 손잡나? 태국 최고 갑부 정다그룹 회장과 두 차례 만나
- 춘절 3억800만명 국내 여행길 올라, 국내관광수입 68조원 돌파
- 알리바바, 부인해도 또다시 싱가포르 ‘이전’설
- 中 코로나 기간 모은 저축액 3234조원, 과연 풀릴까?
- 상하이·베이징 1인당 가처분소득 1500만원 육박
- 정치 더보기
- 中정부 "한국은 전염병 방역 조치 정치화 말라"
- 중일 수교 50주년, 그러나 여전히 위태로운 중·일 관계
- 장쩌민 전 국가주석, 향년 96세 타계… 백혈병, 다발성 장기부전
- 中 언론 “오랜만에 만난 미·중 정상에 세계 긴장 완화”
- 갈수록 강해지는 중국 정부의 규제, 그 이유는?
- 문화/생활 더보기
- 상하이, 전기차 1대 구매하면 182만원 보조금 지원
- WHO “코로나19 여전히 국제사회 비상 사태”... 최고 등급 경보
- 상하이, 춘절 연휴 나흘 만에 관광객 569만명 맞아
- 中 애국영화 선봉배우 '우징', 개인 매출 5조원 돌파 中 영화사 1위!
- 춘절 연휴, 중국인 해외여행 640%↑
- 사회 더보기
- 中 2월부터 달라지는 것들
- 中, 중국 입국 한국인에 대한 전원 PCR 검사 부활
- “없어서 못 판다”…‘자터린(加特林)’ 폭죽이 뭐길래?
- 중국 본토 인구 14억 1175만 명
- 中 부부, 6년간 결혼증 6장, 이혼증 4장 보유
- IT/과학 더보기
- ‘잘나간다! 샤오미폰’ 시장점유율 중국 1위, 글로벌 3위
- 상하이 로봇산업 도시 육성에 2025년까지 18조원 투자
- 텐센트게임, 겨울방학·춘절 연휴 미성년자 게임시간 제한
- 中 국내외 온라인 게임 판호 대량 발급, 게임업계 ‘청신호’
- 트렌드를 이끄는 15초 '틱톡(Tik-tok)'
- 교육/유학 더보기
- 2022년에도 전 세계 중국어 배우기 계속, 30대 이하가 80%
- 中 코로나19 봉쇄조치로 등교 못한 학생들, 학비 감면 받을 수 있나?
- 중국 대학의 치열한 인재 쟁탈 대전
- 상하이시 모든 학교 ‘온라인 수업 전환’ 사실 아냐!
- 中 대학, 국경절 연휴 줄이고 겨울방학 늘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