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 스포츠/연예 > 연예/스타


“바라보는 방향이 달라 앞으로의 길을 더 이상 함께 갈 수 없습니다. 국가 앞에 ‘우상’이라는 두 글자는 중요치 않습니다” 유재석의 중국 팬카페가 20일 저녁 폐쇄한다는 발표를 하면서 올린 글이다.
텅쉰망을 비롯한 중국의 각종 주요 매체는 21일 유재석의 중국 팬카페가 폐쇄됐다는 내용을 전했다.
사건의 발단은 19일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서 유재석이 언급한 발언 때문이다. 이날 유재석은 방송에서 황대헌 선수가 쇼트트랙 1000m 경기에서 실격 판정 당한 것을 두고 “그날은 주체를 못하겠더라. 너무너무 화가 났었다”고 말했다.
중국 바이두의 콘텐츠 플랫폼 바이자하오(白家好)에는 “일부 한국 운동선수와 국민들은 정확한 정보 채널이 막혔는지, 극히 부분적인 것에 미혹되어 진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쇼트트랙에서 황대헌 선수는 ‘굉장히(天大)’ 억울한 입장이라고 주장하는데, 중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유재석이 프로그램에서 “대단히 화가 났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고 전했다.
이어 동석한 다른 MC들도 비슷한 반응을 쏟아내면서 자신의 입장만 믿고 진실과 사실을 지극히 왜곡했다고 설명했다. 유재석이 진실을 무시하고 맹목적으로 황대헌 편을 드는 모습에 중국 팬들의 마음이 완전히 식어버렸다고 전했다.
또한 “황대헌은 한국 내 동정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수차례 공개석상에서 경기 중 편파 판정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이에 블랙핑크의 제니, 김남준, 유재석 등이 그의 편을 들어주고 있다”고 전했다. 아마도 황대헌 선수는 유명 인사가 자신의 편을 들어주면 자신의 억울함이 사실이 되는 것처럼 생각하는 것 같다고도 덧붙였다.
실제 해당 방송 후 유재석 팬카페는 즉각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팬 카페는 “바라는 바가 달라 미래의 길을 더 이상 함께 할 수 없다. 사실을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국가의 입장 앞에 ‘우상’이라는 두 글자는 중요치 않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일부 누리꾼은 “유재석의 인성이 훌륭해 막말을 내뱉지 않는다고 믿었는데, 내가 중요한 사실을 잊고 있었다. 그는 hgr(한국인)이다”, “한국인이라서 황대헌의 반칙도 응원한다면 앞으로 중국에서 돈을 벌지 말아라! 한국인들이 뭐라 하건 간에 모두가 황대헌의 반칙을 똑똑히 보았고, 금메달은 바로 중국의 것!”이라면서 적개심을 드러냈다.
11월 28일(토) 아침 7시 30분 SBS 첫 방영
- 경제 더보기
- 中 5월 신에너지차 생산·판매 전망치 웃돌며 호조세
- '디폴트' 헝다, 내달 기본 구조조정안 발표
- 中 1~5월 외자사용 규모 전년比 17.3% 증가
- ‘글로벌 브랜드 가치 100강’ 中기업 14곳 진입… 韓 삼성 유일
- 中 5월 경제 회복세…2분기 플러스 성장할까?
- 정치 더보기
- 美 상하이총영사관 철수령에 中 “정치적 이용 말라!”
- 中 매체 “윤석열 ‘초박빙’ 대선 승리”… 사드 추가배치, 대중 강경 노선 주장
- 상하이 6281명 투표, 단일투표소 세계 1위
- 中 ‘양회’ 4일 개막…경제 관전포인트 ‘세 가지
- 상하이 재외투표 첫날 785명 참여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 문화/생활 더보기
- 상하이 올해 첫 ‘고온 오렌지색경보’… 지난해보다 14일 빨라
- 中 해외 입국제한 완화 추세 ‘뚜렷’…국제선 증편, 비자 재개, 격리 단축
- 상하이 주재 외국인, 백신접종 재개
- 中 남부 ‘여름 독감’ 유행 비상
- 中 ‘핵산 검사 상시화’ 취소 지역 계속 증가
- 사회 더보기
- NIO, 上海 테스트 중 추락해 2명 사망
- 中 본토 신규 감염자 18+26… 상하이 2+1
- 상하이 민항구 ‘코로나 제로 단지’ 113곳 추가…홍차오전 12곳
- 中 본토 감염 13+18…상하이 봉쇄지역서 9명 발생
- 中언론 “韩 젊은이 5명 중 1명은 코인투자” 유일한 출세의 길로 여겨
- IT/과학 더보기
- 中 8개월 만에 게임 서비스권 발급… 온라인게임 45개 승인
- 야후 이메일, 중국 본토 사용 중단
- 中 네티즌 수 10억명 돌파, 1인 평균 매주 28.5시간 인터넷 사용
- 中 국가혁신능력 세계 12위
- 2021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 교육/유학 더보기
- ‘QS 세계대학평가’ 베이징∙칭화대 역대 최고 순위
- 상하이, 세계 명문대 50위권 졸업생에 上海 호적 준다
- 中 초등참고서 이번엔 ‘일본군’이 영웅처럼 등장
- 상하이 6월 6일부터 고2,3 등교 시작… 중3은 13일부터
- 12년 로컬학교 경험에서 터득한 중국어 공부법